카테고리 없음

류마티스 치료기- 한방치료 시작한 지 2개월 후기

JiJi FIRE 2022. 8. 21. 00:44
반응형

20대 때 잠깐 1년동안 한약을 복용했 던 것 제외하고, 한방치료(한약 처방 및 격주 침 침치료)를 제대로 받기 시작한 지 2개월이 지났다. 많은 사람들이 한방치료의 안정성과 효과성에 대한 의구심이 들어 치료하기 꺼려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한다. 양약보다는 즉각적인 효과가 나지 않고 오랫동안 지켜봐야하며, 또 한의원에서 먹지말라는 음식들은 얼마나 많은가.
그 까다로움과 귀찮은 수고를 이겨내고 꾸준히 한방치료를 사람들은 받을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양약을 먹게되면 평소와 다르지 않게 생활 할 수 있고, 몸의 변화라던가 나의 식단 조절 등이 크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장 큰 장벽중에 하나로 느껴지는 것은 한약재 가격이다. 환자는 매일 두 포씩 아침 저녁으로 한약을 따뜻하게 데워 먹어야는데, 이 한약재 값이 어마어마 하다. 필자도 옛날 한약치료를 고려했다가 포기했던 가장 큰 이유가 한약 값이었다. 당시 류마티스 치료로 유명했던, 서울 강남의 ㅇㅈㅅ 한의원을 방문 했었고 당시 2013년~14년 금액으로 80만원 정도 한약재 값을 요구했었다.. 나는 당시 고작 24살 밖에 안된 갓 졸업한 대학생이었기 때문에, 한방치료를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와 양약을 복용했다. (그때 복용을 했더라면 좀 달랐을까…?)

서두가 너무 길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방치료 2개월 후기를 작성하려고 들어왔다.
필자는 매일 한약 아침 저녁으로 따뜻하게 한 포 씩, 식단은 건강식으로 야채, 과일 등의 위주로 섭취했으며, 고기 같은 염증을 잘 유발 할 수 있는 음식은 자제했다. 밀가루와 우유 버터 등으로 만든 빵도 거의 끊었었고, 꼭 먹어야하겠다면, 비건 빵 또는 호밀로 만든 식빵등으로 먹었다. 우유 또한 블로그에 작성한 것 처럼 산양유로 대체 하여 먹었다.

한방치료의 경과를 보는 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피검사 결과
2. 환자의 몸 상태

경과를 확인 할 때 위의 요소 중 한 가지만 보지 않고 둘 다 보는 이유가 있다.
피검사 결과가 좋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몸에 염증반응이 남아 있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한의사의 진단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는 피검사 결과와 환자의 몸 상태는 크게 다르지 않다. 피검사 결과가 안정적이면 환자의 몸 상태 (통증, 염증 등) 안정적인 경우가 많아, 피검사 결과를 보며 치료 방향을 정하게된다. 나같은 경우에는 최근 1년치 피검사 결과지로 비교하여 만성염증레벨과 급성염증레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만성염증수치과 급성염증수치의 차이등은 따로 글을 올리도록 하겠다.

ESR 만성염증수치 변화(정상치:0~20)
2020-06-19.    30
2020-10-16.     33
2021-02-09.    35
2021-06-08.    36
2021-11-17.      35  
2022-04-04.   52
2022-07-22.    32

정상치가 0~20 인데 나의 피검사 결과는 20이상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주고있다. 아마 오랫동안 이 정도 수치를 유치했기에 30아래로 아직 떨어지진 않았지만, 꾸준히 한방+양방치료를 받는다면 더 내려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나는 궁극적으로 임신계획이 있기 때문에 만성염증 수치가 내려가기만을 기도하고있다.

CRP 급성염증수치 변화 (정상치: 0~5)
2020-06-19.      1.67
2020-10-16.       0.47
2021-02-09.       0.53
2021-06-08.       0.37
2021-11-17.         1.38
2022-04-04.      0.64
2022-07-22.       0.27

급성염증수치는 1년간 했던 피검사중 가장 낮은 수치를 받았다. 실제로 스테로이드, 진통제를 먹는 날이 많이 줄었다. 검사 결과를 받고나니 기분이 더 좋아졌다.
한약을 먹으면 간수치가 증가한다는 설이 있어 간수치도 같이 확인해 보았다. 간수치를 확인하는 검사의 종류는 AST, ALT, ALP, Y-GT,빌리루빈, 알부민,프로틴,PT등의 수치를 확인하게 된다. 간수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따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대표적인 간수치 확인 지표만 먼저 보았다.

ALT (간세포가 손상 받을 경우 농도가 증가한다, 간에서만 특징적으로 생산되기때문에 간수치 지수 중에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여긴다.)
정상치 (5~36)

2020-06-19.    15  
2020-10-16.     20
2021-02-09.     10  
2021-06-08.      12
2021-11-17.         14
2022-04-04.      20
2022-07-22.       17

간수치에서는 큰 차이는 없었고, 정상범위에 속했다. 간수치도 정상적으로 나와 한약치료에 대한 위험성에 대한 걱정은 덜어지게 되었다.

드라마틱하게 피검사 결과가 좋아지지는 않았지만, 벌써 엠티엑스를 (5알->4알) 1개 줄인 상태에서 생활을 하고 있고, 4알로 생활하고 있을 땐 다행이 큰 통증이나 어려움은 없는 상황이다. 향후 몸 상태가 더 좋아지면 엠티엑스를 한알씩 천천히 끊는 방향으로 나가려고한다. 스테로이드와 진통제는 필요하지 않는 이상 매일 복용 하지 않는 상태이다. 한의사 선생님 말로는 나는 심장이 좋지 않아 스테로이드를 장기복용할 시 더 몸이 망가진다고하여, 최대한 양약을 줄여 나가는 방향으로 가고있다. 처음 한 달은 한약이 빨리 효과가 없다고 느껴져서 좌절도 많이고 돈만 버리는 것 아닌가 걱정도 많이 했지만 검사 결과를 본 지금은 한결 마음이 놓였다. 이제 다음주에 3개월 경과 피검사를 받으러 가려고한다. 가급적이면 매달 피검사결과를 받으면서 체크해 나가는 것이 좋다고한다.

류마티스를 이겨낼 때 까지 나는 끝까지 해낼 것이다!  



















반응형